학문목적 한국어 교재 개발 한국 대학에 다니고 있는 중국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요즘 대학에서 의사소통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학생들이 스스로 지식을 탐색하고 고민하는 학습자 중심의 교수법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대학에 입학한 학생 중에는 기본적인 한국어 능력만 있으면 되고, 학문 목적 한국어를 배울 필요가 없는 경우도 있어, 이러한 교육 방법이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본 설문조사를 통해 학문 목적 한국어의 필요성과 교재 개발 방향을 설정하고자 합니다.
1. 나이가 어떻게 됩니까??
2. 성별이 무었입니까? 남 여
3. 한국어 얼마 동안 배웠습니까? 6개월 이하 6개월~1년 1년 이상
4. 토픽 등급이 어떻게 됩니까? 3급 4급 5급 6급
5. 학력이 어떻게 됩니까? 학부 석사 박사
6. 학문 목적 한국어를 배우는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까? 매우 필요하다. 대체로 필요하다. 보통이다. 필요없다.
7. 학문 목적 한국어를 배우면 학교 생활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까? 매우 된다. 대체로 된다. 보통이다. 조금 안 된다. 안 된다.
8. 학문 목적 한국어를 배운 적이 없기 때문에 어려움을 겪은 적이 있습니까? 있다. 없다.
9. 학문 목적 한국어를 배운 적이 있습니까? 있다. 없다.
10. 학문 목적 한국어를 배운 동기는 무엇입니까?
11. 사용했던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 명칭은 무엇입니까?
12. 사용했던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를 만족합니까? 매우 만족하다. 대체로 만족하다. 보통이다. 조금 불만족 매우 불만족
13. 사용했던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의 장점이 무엇입니까? 적당한 연습 문제/연습 활동 담화 유형 (토론, 대화, 독백, 설명 등) 학교에서 접할 수 있는 주제 학교 생활에 도움이 된 내용 설계 기타
14. 사용했던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의 단점이 무엇입니까? 적당한 연습 문제/연습 활동 부족 담화 유형(토론, 대화, 독백, 설명 등) 학교에서 접할 수 있는 주제 부족 학교 생활에 도움이 된 내용 설계 부족 기타
15. 학문 목적 한국어 중에 어느 기능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까?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16. 학문 목적 한국어 중 가장 알고 싶은 내용이 무엇입니까? 발표 토론 논의 기타